붉은 벽돌 건물을 좋아합니다. 별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순전히 주택가 골목에서 보낸 유년 시절이 떠올라서죠. 도심을 벗어나 연식이 오래된 동네에 들어서면, 자연스레 적벽돌 주택에 눈길이 가고는 합니다. 벽돌과 벽돌을, 그 사이를 메운 시멘트 모르타르가 자아낸 익숙한 질감을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불에 달궈지며 단단해졌을 벽돌의 시간을, 그 벽돌을 한 장씩 쌓아 올렸을 이들의 땀방울을, 한집에 살면서 삶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마주했을 사람들을 상상하는 일을 좋아합니다. 한국 건축의 한 시대를 풍미했던 붉은 벽돌이 최근 들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성수동 일대에 붉은 벽돌 마을을 지정할 정도이니까요. 블루보틀 같은 스페셜티 커피 브랜드의 한국 1호점도 붉은 벽돌 건물에 들어선 걸 보면 분명 유행은 유행입니다. 얼마전 전혀 새로운 모습의 붉은 벽돌 집이 등장했습니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1인~2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공간과 서비스를 내세운 ‘에피소드 성수 101’입니다. 지난 두 달여 간 익숙한 모양새의,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를 지닌 이 집을 탐구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체 가구의 29.8%(약 599만 가구)가 1인 가구입니다. 가구 세 곳 중 한 곳은 1인 가구인 시대인 셈입니다. 홀로 사는 이들이 늘어날수록 우리 사회는 급격히 바뀌게 될 것입니다. 당장 주거 공간만 하더라도 4인 가구에 맞춘 평면이 아니라, 1인~2인 가구를 위한 새로운 평면이 요구되고 있으니까요. 변화의 시기를 슬기롭게 보내기 위해서는 집에 담겨야 할 가치가 무엇일지 고민해봐야 할 것입니다. 주거와 커뮤니티가 만나야 하는 이유, 거주자가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도록 한 모듈형 시스템, 노마드 라이프스타일과 리모트 워크, 플랫폼으로서의 주거 공간 등 집을 둘러싼 새로운 개념을 '에피소드 성수 101'에서 접할 수 있었습니다. 101개의 공간, 101가지 이야기를 품은 집을 여러분께 전합니다. 박경섭 에디터 드림 집에 더 많은 가치를 담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바람 속에 SK D&D는 최근 서울 성수동에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주거 서비스 ‘에피소드 성수 101’을 선보였습니다. 이 집은 천편일률적인 원룸이 아니라 거주자가 원하는대로 공간을 마무리하는 맞춤형 반제품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 거주자 간 자연스레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과 커뮤니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름만큼 각양각색의 공간과 에피소드를 소개합니다. 에피소드 성수 101은 '보다 긴밀하되 보다 유연한' 일상이 좋은 집을 만든다는 가치를 품고 있습니다. 혼자 살되 함께 사는 방식에 대한 고민을 공간 곳곳에 녹였습니다. 이 공간을 기획, 운영하고 있는 김도현 SK D&D 본부장을 만나 '에피소드 성수 101'의 주거 철학과 운영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최중호 디자이너는 제품과 가구, 조명과 공간 디자인 영역에서 다양한 작업을 펼쳐왔습니다. 자신이 맡아온 분야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겨 온 그가 이번에는 '에피소드 성수 101'이라는 주거 공간 디자인에 도전했습니다. 최중호 디자이너는 어떤 이가 머무르든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방에 투영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서 이케아 해킹과 모듈 시스템을 제시했습니다. 월 패널과 이케아 부품, 가구 및 가전 렌털 시스템으로 거주자가 지산의 취향을 조립하는 일을 실현하였습니다. 최중호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주거 공간의 핵심과 디자이너의 역할을 들어봤습니다. "타인과 함께 활동하거나 뭔가를 배우는 일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고 있는 건 굉장히 좋은 변화라고 생각해요. 비즈니스 차원에서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고요. 다양한 공간이 등장해 특색있는 시도를 선보이는 사례가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했어요. 이런 변화가 어떤 모습으로 이어질지 궁금해요. 공유의 개념이 어떻게 바뀔지, 그 범위의 확장은 얼마나 커질지, 또 절대 공유될 수 없는 가치는 무엇인지 자문하게 되더라고요. 에피소드에서 흥미로운 경험을 하는 중인 것 같아요." - 남보라 에디터 <브리크brique> 웹 미디어에서 에피소드 성수 101에 관한 더 많은 사진과 전체 도면, 다이어그램, 건축개요, 건축가의 글과 더 많은 다른 집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지금 방문해보세요! <브리크brique> 세 번째 이야기 vol.3 (2020년 봄호)가 출간됐습니다. 이번호는 밀레니얼들의 다채로운 삶의 방식에 주목한 다양한 주거 공간과, 집 근처 동네에 새롭게 등장한 신개념 공간과 서비스를 담았습니다. 아이 없는 부부가 함께 또 따로 사는 집 '남녀하우스',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주택 '청운광산', 커뮤니티 기반 주거 서비스 '에피소드 성수 101'에 담긴 이야기를 기획자와 건축가, 거주자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다층적인 이야기를 전합니다. '동네가 내 집이 된다면 Near my home'을 주제로 집 근처, 동네를 중심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움직임도 포착했습니다. 거실과 부엌 등 집의 공간을 집 밖으로 끌고 나온 '프로젝트 후암', 카페와 코인세탁방을 결합한 '론드리 프로젝트', 연희동과 연남동에서 동네 콘텐츠를 개발한 어반플레이의 '쉐어빌리지' 등 동네와 지역을 중심으로 숨은 매력을 발굴해 다양한 콘텐츠를 만드는 기획자들과 그들이 제안한 공간 사례를 담았습니다. 책은 교보문고와 북스리브로 전국 매장, 스틸북스, 책발전소 광교, 최인아책방 등 오프라인 서점과 인터넷교보, 예스24, 알라딘, 인터파크,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 서점에서 각각 구매 가능합니다. 뉴스레터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으신다면? 웹에서 보기 매월 1, 3주 수요일에 뉴스레터를 받고 싶지 않으시다면? 수신거부 Unsubscribe info@brique.co 04779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G701호 (성수동1가,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02-565-0153 |
도시, 공간, 사람을 담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