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취업하면서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해 온 언니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똑같이 가족과 사는 것인데 부모님이 계신 고향 집에서 지내던 생활과는 많은 부분이 달라졌어요. 타지에서 먹고 자는 것을 해결하다 보니 당연했던 것들과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냉장고에 반찬과 과일을 쌓아두기가 부담스럽고, 한두 끼 먹을 만한 소포장 신선 제품을 마트나 편의점에서 사곤 합니다. 큰 책상이 없으니 주말엔 집 앞 카페로 나가 노트북 작업을 하기도 하고, 작아진 집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머리를 굴리다보니 '수납의 귀재'가 된 듯합니다. 1~2인 가구의 증가는 집의 새로운 평면을 만들어 내기도 했지만, 우리가 사는 동네의 모습도 변화시켰습니다. 집 안에서 누리지 못하는 것을 밖에서 해결하고, 동네 전체를 내 집처럼 사용할 필요가 증가한 것이죠. 주변 공원을 마당처럼 드나들고, 동네 상점을 내 방처럼 사용하고, 골목길 식당에서 친구와 만나 식사를 해결하는 이들이 늘었습니다. 'Near my home'이라는 주제로 기획 취재를 하면서 곳곳에서 공간과 문화를 만드는 여러분들을 만났습니다. 저와 같은 밀레니얼 세대의 청년들이 공감할 이야기가 많아 흥미로왔습니다. 작은 집에 사는 불편함, 멋진 공간을 누리고 싶은 마음, 타지 생활의 외로움… 청년들이 흔히 겪게 되는 주거 환경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가까운 동네 안에서 공간과 서비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앞서 시도하는 분들이었습니다. 주거 문화의 새로운 변화를 포착하고, 흐름에 발맞춰 새로운 콘텐츠를 제안하는 이들과의 만남. <브리크brique> vol.3 ‘Near my home’ 속 이야기를 차례차례 독자 여러분께 전합니다. 장경림 에디터 드림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의 한 골목길에는 도시공감 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가 만들어낸 공간들이 나란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집 안의 기능을 밖으로 꺼낸 ‘프로젝트 후암’은 작은 규모이지만 실제 집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도시 속, 자신만의 공간과 시간이 필요한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 후암’. 기획자 인터뷰, 공간 소개, 사용자 경험담까지 함께 만나보세요. 해방촌에 위치한 ‘론드리 프로젝트’는 세탁과 커피가 함께 있는 특색 있는 카페입니다. 세탁기가 돌아가는 1시간 남짓은 누군가에게 지루한 시간이지만 '론드리 프로젝트' 안에서는 작업을 하고, 친구도 만나는 멋진 시간으로 변신합니다. 해방촌과 또 다른 분위기를 가진 마포구 서교동의 2호점 ‘워시 타운’의 이야기도 담았습니다. 세탁 카페의 탄생 비화와 해방촌과 홍대, 두 동네의 이야기를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누구나 창고는 필요하다. 주거의 형태가 변하면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하지만 개인이 충분한 공간을 가지기란 어려워졌죠. 이를 위해 만들어진 '미니창고 다락'. 과거의 다락방처럼 집과 가까운 곳에서 사람들의 삶을 담는 그릇이 되었습니다. 홍우태 세컨신드롬 대표를 만나 스토리지 시장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낯선 이들도 금새 친구가 되는 공간이 있습니다. 바로 '커뮤니티 바'라는 생소한 콘셉트를 내세운 '삼만항'입니다. 삼만항은 '핫 플레이스' 대신 지역 주민들의 소통을 돕는 '커뮤니티 바'가 되길 바랍니다. 그래서 손님이 주인이 되는 새로운 운영방식을 취합니다. 요일별로 돌아가며 삼만항의 주인이 되는 손님, '마스터'들은 자신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춰 날마다 공간을 새롭게 꾸밉니다. 매일 다른 모습으로 동네 주민들을 맞이하는 그곳을 찾아가 더 많은 이야기들을 들어보았습니다. 홍콩은 2001년 홍콩디자인센터를 론칭한 이래 크리에이티브 산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3년 제정한 ‘디자인포아시아어워드(DFAA)’가 대표적인 예죠. 세계에는 수많은 디자인 어워드가 있지만 이 상의 특별함은 쉬이 퇴색되지 않습니다. 바로 아시아적인 관점으로 아시아다운 디자인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2019년 발견한 아시아의 보물 같은 공간들을 소개합니다. 영감을 던지는 건축물을 놓치지 마세요. 뉴스레터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으신다면? 웹에서 보기 수요일에 뉴스레터를 받고 싶지 않으시다면? 수신거부 Unsubscribe info@brique.co 04779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G701호 (성수동1가,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02-565-0153 |
도시, 공간, 사람을 담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