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조선민화, 구벼울, 스몰글라스 성수, 산청 C주택, 집의 감각, 식물생활가전 틔운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 대중목욕탕을 대중갤러리로 ‘갤러리조선민화’ → 남한강 끝자락의 오랜 건물을 개조한 전망 맛집 카페 ‘구벼울’ → 일상을 빛내는 공예품들로 가득한 ‘스몰글라스 성수’ → 귀촌한 부부가 지은 둘만의 아지트 ‘산청 C주택’ → 하우스house와 홈home의 의미를 되새기는 책 ‘집의 감각’ → 실내 식물을 키워주는 생활가전 ‘LG 틔운’ Place 일상에 영감과 풍요를 더하는 공간을 찾아 기록하는 인스타그램 계정 @p.lace_case 운영자이자 <브리크 brique> 애독자인 플레이스 케이스 Place_case님을 전문 기고자로 초대했습니다. 실내 건축을 전공하고, 현재 공간 디자인PM으로 일을 하고 있는 그녀는 삶을 윤택하게 하는 장소들을 큐레이션하여 주변 이들과 함께 향유하고 소통하고자 합니다. 그가 펼치는 공간 이야기를 따라가며 여러분도 잠시 여유로운 시간을 가져보시길 기대합니다. [Place_case] ② 조선시대 민초의 일상을 아카이빙한 북촌의 새명소 ‘갤러리조선민화’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갤러리조선민화'는 사람에 빗대면 네 번째 인생을 살고 있는 건물입니다. 1950년에 지어져 약 19년간 중앙고 운동부 샤워실로 쓰이다 1969년부터 북촌의 유일한 대중목욕탕 ‘중앙탕’으로 약 46년간 사랑을 받았죠. 목욕탕 폐업 이후 2015년부터 2019년까지는 선글라스 브랜드 ‘젠틀몬스터’의 북촌 매장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이 건물은 또 조선시대 민화를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갤러리로 새 삶을 살고 있는데요, 민화 연구자이자 수집가였던 이세영 대표가 대중목욕탕 건물을 갤러리로 바꿔 놨죠. 이 대표는 조선의 문화와 옛 정취가 가득한 북촌에 위치한 이 건물만큼 민화에 생명력을 다시 불어넣기에 좋은 장소가 없다고 생각했다고 하네요. 목욕탕을 전시공간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장소 곳곳에 남아있는 옛 흔적을 의도적으로 살려둔 것도 둘러보는 이에게 재미를 더합니다. 예를 들어 ‘바가지탕’이었던 자리에 연못을 소재로 한 비디오 아트를 연결한 것처럼요. 반세기 동안 동네 사랑방이었던 대중목욕탕이 민화를 대중에게 알리는 공간으로 변한, '갤러리조선민화'를 한번 둘러보시죠. Article 구벼울 GUBYEOUL 경기도 양평 남한강 변에 위치한 ‘구벼울’은 얕은 언덕 중턱에 자리한 채 남한강을 바라보는 뻥 뚫린 뷰가 압도적인 카페입니다. 강물이 여울져 흐르는 모습이 마치 말발굽 모양을 닮아 이 지역을 제탄, 우리말로 ‘구벼울’이라 부른다네요. 건물 한 동은 새로 짓고 다른 두 동은 리노베이션을 거쳐 지금의 형태가 됐습니다. 어느 좌석에서나 바깥의 풍경을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액자처럼 창을 내고 이와 대조적으로 내부 공간은 모던하지만 목재를 적절히 활용해 ‘꾸안꾸’ 디자인으로 연출했습니다. 목재를 균일하게 절단해 기다란 의자를 만들고, 가운데를 파내어 조명을 삽입하고, 작은 구멍을 내어 나무를 심어낸 이런 소소한 디테일들을 발견하는 즐거움이 있는 공간입니다. 아이와 함께, 가족과 함께, 누구나 언제든 찾아서 편안한 쉼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주인장의 바람이라네요. 방문하시면 아주 잘 알려진 ‘누군가’가 직접 여러분을 맞이할 겁니다. Projects 스몰글라스 성수ㅣ정초이웍스 서울 성수동에 새로운 문화공간, ‘스몰글라스 성수’가 등장했습니다. 문화기획자 그룹 ‘어반플레이’와 함께한 공간으로 와인바와 큐레이팅 된 공예품들이 공존하고 있는데요. 방문객들은 와인바에 앉아 전시된 공예품을 구경하고 직접 찻잔, 접시 등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 공간은 다양한 색상과 형태가 공존하는 회화 작품과 닮아있습니다. 도드라지는 밝은 색상을 가진 내부 공간은 큰 창을 통해 회화적인 풍경처럼 거리에 드러나 사람들을 초대하고 있죠. 최대 9명이 앉을 수 있는 이 공간은 카페, 레스토랑, 와인바, 편집숍 등 작지만 다양한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 자리 잡은 공예품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내고, 일상의 삶이 더 풍부해질 수 있도록 예술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 ‘스몰글라스 성수’를 만나보세요. 산청 C주택ㅣ황준도시건축사사무소 도시를 떠나 호젓한 생활을 누리고 싶어 귀촌을 결심한 부부는 경남 산청 깊은 산속에 집을 짓습니다. 산지 특성상 범죄나 야생동물과 같은 위험으로부터의 안전이 우선돼야 하는 만큼 집에 여러 장치를 갖췄습니다. 우선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 방향 출입문 앞에는 가벽을 두었습니다. 가벽은 외부 시선의 차단할 뿐만 아니라 조명을 설치해 집에 표정을 더하고, 캐노피 유리의 지지대, 작은 벤치 등 여러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주차장은 집의 외관과 연결해 디자인 요소로 활용했고, 천창을 만들어 차와 지면이 젖지 않으면서 빛이 주차장 안까지 들어오도록 했습니다. 산짐승을 피할 수 있도록 집의 중심에 중정을 만들어 안전하게 문을 열어 놓을 수 있도록 했고, 환기와 채광에도 도움을 받았습니다.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임을 고려해 새로운 방식의 냉난방시스템으로 관리 비용도 낮췄습니다. 산지에 집을 짓는 건축주를 위해 많은 고민과 아이디어가 담긴 '산청 C주택'을 함께 보시죠! News 🏠 《집의 감각》 출간 김민선, 그책 하우스house와 홈home의 차이를 아시나요? 같은 집이라도 그 의미가 조금 다른데요. 하우스가 눈에 보이는 건축물로서의 주택을 뜻한다면 홈은 좀 더 정서적 개념으로서의 집을 말해요. 편안함과 안락함을 주는 보금자리, 정겨운 고향 등을 뜻하죠. 신간 ‘집의 감각’은 개인에게 만족감을 주는 좋은 집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이에요. 저자 김민선은 공간 디자이너로서 많은 사람을 만나며 집을 집답게 만드는 여러 가지 요소를 탐구했는데요, 그 요소는 의자가 놓이는 방식부터 창문 밖 풍경까지 다양해요. 지금 내가 사는 곳이 왜 좋은지, 혹은 나에게 진정으로 좋은 집은 어떤 곳일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어요. 🪴식물생활가전 ‘틔운’ 출시 LG전자, Objet Collection “물을 주는데 왜 살아나질 못하니...” 화분에 담긴 식물을 보며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나만의 홈 가든을 만든다는 부푼 꿈을 안고 식물을 데려왔지만 그 꿈은 오래 지나지 않아 좌절되어 버렸죠. 집에서 식물을 잘 기르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은 일이니까요. LG전자에서 이런 아쉬움을 달래줄 새로운 형태의 가전을 출시했어요. 식물 생활의 싹을 틔운다는 취지로 마련된 ‘LG 틔운’인데요, 작은 서랍장처럼 보이는 이 기계 안에는 식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기술이 담겨 있다고 해요. 물과 영양제, 씨앗키트를 넣기만 하면 알아서 꽃과 채소가 쑥쑥 자란다네요. 이제 플랜테리어도 장비가 중요한 시대가 됐나봐요. Books <가상-건축 Architecture as Fabulated Reality>(2쇄 발행) 팬데믹 이후 가상 세계는 어느 때보다 뜨거운 이슈가 되었습니다. 팬데믹으로 생긴 현실적 제약들로 인해, 이제 사람들은 가상 세계에서 삶을 이어나가는 것에 익숙해져갑니다. 일상은 가상에서 이어지고, 가상과 현실의 경계는 더욱 흐릿해집니다.
가상과 현실이 뒤섞이면, 기존 현실에서 공간과 풍경을 만들어가던 건축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또 현실과 다름없는 가상에서 건축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건축과 공간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앞으로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가상-건축>은 가상 세계의 등장으로 인한 인식의 변화를 건축적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책입니다. 건축을 둘러싼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바뀌어갈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추적하고 상상합니다. 또 건축은 애초부터 가상이었다는 과감한 결론에 이르기도 합니다. 이 책에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건축 사이의 여러가지 고민거리에 대한 여러 건축가들의 생각이 모여있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에세이와 작업에 담긴 서로 다른 고민거리를 추적하고 비교해나가며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들이 새로운 생각의 단초를 얻으실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정해욱 <가상-건축> 공동 저자 Editor's Letter📮 독자 여러분, 혹시 전시 좋아하세요? 브리크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땀기는 갤러리 'SPACE 2323'에서 사진전을 열고 있는데요. 첫 개인전이라 무엇부터 준비해야 할지 또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서 많은 사건 사고가 일어났었죠. 그때마다 주변 지인들이 도와주셔서 일정에 맞춰 마무리할 수 있었어요. 나쁘지 않게 산 것 같다는 뿌듯함과 도움 주신 분들에 대한 감사함이 겹쳐 요즘 뭉클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 전시에서는 제가 그동안 작업했던 나무 사진을 볼 수 있어요. 아무도 주목하지 않지만 자신의 자리에서 꿋꿋이 살아가는 나무에서 영감을 받아 <너를 아무도 안 봐서 조터라>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서울역 부근 서계동에서 전시를 진행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독자님들 방문해 주시면 기쁠 것 같아요! P.S. 혹시 전시장에서 땀을 흘리고 있는 한 남자를 발견한다면 언제든 말을 걸어 주세요. 그 사람이 바로 사진가 땀기입니다.💦 전시 정보 <너를 아무도 안 봐서 조터라> SPACE 2323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93길 42-1, 1층) 2021년 10월 15일 ~ 2021년 11월 5일 10:00~18:30 (월 휴관)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79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G701호 (성수동1가,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
도시, 공간, 사람을 담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