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가 시립경기장, 이베리아 반도, 그래픽 위례, 문가화령, 디오르, 군산 이당미술관, 마이어 리거 울프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Articles
- [이베리아 반도 유랑기] ④ 시민에게 사랑받는 축구 클럽과 채석장 위에 세워진 경기장 - 브라가 시립 경기장 Estádio Municipal de Braga
Projects
- 독서를 위한 건축적 해석 ‘그래픽 위례 Graphic Wirye’
- 예술의 여백이 깃든 풍경 ‘문가화령 文歌畫呤’
- 광물의 깊이를 닮은 집 ‘디오르 The ore’
News
- 시간이 겹치는 도시, 군산에서 만나는 여덟 작가의 시선…이당미술관, ‘두 개의 시간’展
- 서울시 용산구 ‘마이어 리거 울프’ 갤러리 개관…첫 전시 ‘지난밤 꾼 꿈’ 오는 9월 2일 개최
|
|
|
<브리크brique>와 함께할 동료를 찾습니다.
🏃♂️ 주요 업무
- 건축 아카이브 제작 과정 커뮤니케이션 지원
- 건축 아카이브 콘텐츠 작성 및 편집
- 건축 · 공간 관련 소식의 단신 뉴스 처리
- 그 외 콘텐츠 제작 관련 실무 전반 지원
💡 자격 요건
- 텍스트에 대한 감각과 책임감을 갖춘 분
- 건축ㆍ공간 콘텐츠 제작에 관심 있는 분
- 원활한 소통과 협업이 가능한 분
🏢 근무 조건
- 3개월의 인턴 기간을 거쳐 정규직 전환 협의
- 근무지: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출근+재택)
- 급여: 면접 후 협의
📌 지원 방법
- 이력서ㆍ자기소개서ㆍ포트폴리오 (자유양식)
- recruit@brique.co 이메일 접수, 문의 가능
- 접수 마감일 8월 24일(일), 23시 59분까지
- 서류 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드리며, 불합격자에게는 별도로 연락드리지 않습니다.
- 최종 합격자는 2025년 9월 초 확정됩니다.
|
|
|
시민에게 사랑받는 축구 클럽과 채석장 위에 세워진 경기장
[이베리아 반도 유랑기] ④ 브라가 시립 경기장 Estádio Municipal de Braga |
|
|
포르투 북부에서 한 시간 남짓 떨어진 도시 브라가에서, 최성우 필자는 또 한 번의 인상적인 공간을 마주합니다.
이번 여정의 주인공은 브라가의 상징이자 세계적인 건축물로 손꼽히는 ‘브라가 시립 경기장 Estádio Municipal de Braga’입니다.
건축가 에두아르두 소우토 데 모우라가 설계한 이 경기장은 채석장 위에 얹힌 듯 자연 지형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 완성된 작품으로, 도시의 과거와 현재, 자연과 인공 사이의 균형을 절묘하게 드러냅니다. 또한 경기장을 둘러싼 브라가 시민들의 애정과 공공건축의 의미, 운영과 소유에 관한 고민까지, 축구장이라는 공간을 통해 도시의 다양한 단면이 드러납니다.
|
|
|
이번 여행기는 여행자의 시선으로 이 상징적인 건축물을 읽어낸 기록입니다. 건축가의 의도를 해석해 나열하기보다, 그 의도가 현실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조심스럽게 관찰합니다. 경기장이 지역사회에 남긴 정서적·사회적 흔적에 주목하며, 최성우 필자는 여전히 낯선 도시 속을 거닐고 있습니다.
|
|
|
독서를 위한 건축적 해석 ‘그래픽 위례 Graphic Wirye’ㅣ디자인스튜디오 유랩 Designstudio U.lab |
|
|
디자인스튜디오 유랩U.lab이 설계한 ‘그래픽 위례’는 이태원 공간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성인들을 위한 만화카페입니다. "사람은 어떻게 가장 편하게 책을 읽는가?"라 질문에서 출발한 이 공간은 독서에 몰입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스탠다드 유닛’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좌석의 크기, 발 받침, 조명까지 사용자의 자세와 시선에 집중한 디테일이 눈에 띄는 프로젝트입니다.
|
|
|
그래픽 위례는 1층과 지하 1층으로 나뉘며, 책의 단면을 형상화한 소재와 루버 형태의 파티션, 아늑한 조명 설계 등을 통해 조용한 몰입의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특히 공간 구석구석 숨겨진 유닛들과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1인 리딩룸은 독서를 일상과 분리된 특별한 행위로 만들어줍니다.
|
|
|
예술의 여백이 깃든 풍경 ‘문가화령 文歌畫呤’ㅣ백에이어소시에이츠 100A associates |
|
|
예술이 감정의 결을 섬세히 어루만지며 관계를 깊게 만들 수 있을까요? 백에이 어소시에이츠의 ‘문가화령’은 이 질문에 공간으로 대답합니다. 수집된 예술작품을 중심에 둔 이 공간은 단순한 집이 아닌 ‘예술적 체험의 장’으로 설계되었죠. 대지의 서정성과 조화를 이루는 설계는 시선과 감정을 자연스럽게 머무르게 하며, 여백과 물성, 색의 조율을 통해 내면의 자유와 감각을 일깨웁니다.
|
|
|
바다와 숲의 능선으로 둘러싸인 대지 위, 문가화령은 삶의 핵심 키워드인 예술·휴식·가족이 유기적으로 얽히는 공간입니다. 외부와 내부, 개인과 공동이 유연하게 연결되는 이 집은 감정을 위한 건축적 여백이자 치유의 풍경으로 기능합니다. 그 안에서의 체험은 단순한 머무름을 넘어, 감각적이고도 정서적인 풍요로움으로 기억됩니다.
|
|
|
광물의 깊이를 닮은 집 ‘디오르 The ore’ㅣ레이어드 아키텍츠 Layered architects |
|
|
광물의 영원한 감성과 흑백의 근원을 담은 주거 공간, ‘디오르 the ore’는 우아한 외관과 따뜻한 내부가 조화를 이루는 집입니다. 스킵플로어 구조와 전략적 배치를 통해 공간에 입체감과 독립성을 더하고, 자연과 맞닿은 채광과 조경을 설계에 녹여 일상의 안락함과 감각적 분위기를 동시에 선사합니다.
|
|
|
지하 주차장에서 시작되는 유기적 동선은 중정, 라운지, 마스터룸으로 이어지며 삶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마당과 숲을 바라보는 욕실, 순환형 구조의 침실까지. 디오르는 섬세한 설계를 통해 단순한 공간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고요한 안식처로 완성되었습니다.
|
|
|
🖼️ 시간이 겹치는 도시, 군산에서 만나는 여덟 작가의 시선…‘두 개의 시간’ 展 📍 이당미술관(군산시 영화동 구영6길 108). 오는 9월 19일(금)까지, 11:00~19:00. |
|
|
도시는 하나의 시간이 아닌, 여러 시간의 겹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북 군산, 그중에서도 영화동에 위치한 이당미술관에서 열리는 ‘두 개의 시간 Time Perspective’은 바로 이러한 도시의 다층적 시간성과 감각의 잔재를 주제로 한 전시입니다.
일제강점기의 흔적, 산업화의 그림자, 그리고 고층 주거지로 이어진 오늘의 도시 군산. 여덟 명의 작가는 각기 다른 시선과 매체로 이 시간의 결을 풀어냅니다. 감각과 기억,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관람자는 도시를 새롭게 체험하게 됩니다.
무대가 되는 이당미술관은 과거 동네 목욕탕 ‘영화장’이었던 공간. 40년 넘게 지역 주민들과 함께한 그곳은 한동안 비워졌다가, 2015년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지금의 미술관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타일 벽면과 구조는 여전히 그 시간을 기억하고 있으며, 이곳은 단순한 전시장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와 예술이 만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
|
🎉 서울시 용산구 '마이어 리거 울프' 갤러리 개관… 9월 2일 첫 전시 '지난밤 꾼 꿈' 개최
📍 마이어 리거 울프(서울시 용산구 독서당로29길 6). 9월 2일(화)~11월 7일(금). |
|
|
서울 용산구 한남동, ‘마이어 리거 울프(Meyer Riegger Wolff)’는 독일의 마이어 리거 갤러리와 프랑스의 갤러리 조슬린 울프가 함께 설립한 새로운 공동 갤러리입니다. 아시아 현대미술에 대한 장기적인 관심과 협업의 결실로 오는 9월 2일, 새롭게 문을 엽니다.
이 공간은 두 갤러리가 공유하는 실험성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세계 미술과 한국 미술 사이의 지속적인 대화를 시도하는 새로운 거점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건물은 건축가 최욱(원오원 아키텍츠)이 설계한 건물 1층과 지하 1층에 자리하며, 전시 공간 또한 그의 팀이 갤러리의 성격과 프로그램을 충분히 고려해 유연하고 깊이 있는 구조로 완성했습니다. 도시의 흐름과 단절되지 않으면서도, 전시를 감상하는 이들이 자연스럽게 사유에 잠길 수 있도록 공간적 밀도와 여백을 정교하게 조율했습니다. 흰색과 주황색이 교차하는 외관은 거리 풍경 속에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마이어 리거 울프’는 현대미술의 다양성과 깊이를 담는 살아있는 플랫폼으로서 서울의 예술 지형에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98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22길 51-1, 4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