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욱, 헤르조그 & 드 뫼롱, 하이드198, 그리드149, 탄목원, 오피스P, 탈 주택, 야마모토 리켄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Articles
- [정해욱의 현대 건축가 읽기] ⑤ 탁월한 건축가가 서울에서 선택한 건축 방법론 - 헤르조그 & 드 뫼롱의 타이폴로지
Projects
- 고쳐 쓰는 건축, 기존 구조에 새로운 가능성을 더하다 ‘HIDE 198’
- 생활가로와 주거의 공존, 그리드가 만든 흐름 ‘그리드149 Grid 149’
- 탄화목으로 새긴 기억 ‘탄목원 炭木園’
- 창덕궁을 담는 시선, 빛과 풍경을 조율하는 구조 ‘오피스P Office P’
News
- 야마모토 리켄 ‘탈脫 주택’ 한국어판 출간...공동체를 설계하는 새로운 주거 방식
- 앤갤러리, 유럽 컨템포러리 디자인 가구와 현대 미술의 만남...‘Connect: Art and Design’ 개최
|
|
|
창의적인 공간 프로젝트 제보를 기다립니다!
<브리크brique>가 공간을 통해 창의적인 실험과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가는 건축가 및 디자이너 여러분들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브리크는 독창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프로젝트, 디자인이 돋보이는 공간을 아카이빙하며 그 과정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콘텐츠로 만들고 있습니다. 신축과 리모델링, 도시재생을 포함해 주택, 파빌리온, 공공건축, 문화시설 등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를 소개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제보 대상
- 신축 및 리모델링, 도시재생 프로젝트
- 주택, 파빌리온, 공공건축, 문화시설 등
📩 제보 방법
📄 요청 자료
- 프로젝트 사진 / 도면 / 다이어그램 등 (10~30장 내외, JPG 파일)
- 프로젝트 개요 및 소묘 (소묘는 A4 1페이지 분량)
- 사무소 소개 및 CI(.jpg), 디자이너 프로필 사진 (선택 사항)
보내주신 프로젝트는 순차적으로 편집해 발행되며, 필요한 경우 보완 요청을 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발행 1주일 전 미리 공유해 드리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좋은 공간을 더 많은 독자들과 나눌 수 있도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브리크편집팀 드림 |
|
|
탁월한 건축가가 서울에서 선택한 건축 방법론
[정해욱의 현대 건축가 읽기] ⑤ 헤르조그 & 드 뫼롱의 타이폴로지 |
|
|
사람들이 도시를 기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그 지역에서 만난 사람, 보냈던 시간, 경험했던 음식과 문화 등 다양한 관점으로 기억하게 되죠. 그런데 묘하게도 공통적인 기억으로 남는 이미지는 그 지역의 건축 환경입니다. 단순히 눈에 띄는 하나의 랜드마크 건물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층고가 낮은 박공지붕 집들로 이어진 동네는 거주자나 방문객에게 자연스레 편안함을 주고, 붉은색 벽돌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는 가로의 건물들은 도시를 단정하고 품격있게 기억하도록 돕죠. 이처럼 건축물은 도시를 기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
|
|
필자가 이번에 소개하는 스위스 출신의 헤르조그 & 드 뫼롱 건축가는 건축의 형태로 도시의 강한 인상을 만들어 낸 여러 결과물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산대로에 개관한 ‘송은아트센터’와 한창 작업 중인 ‘서리풀 보이는 수장고’가 있는데요. 송은아트센터는 삼각뿔 모양의 형태로 그 존재감을 크게 드러내 화제가 됐죠.
두 건축가는 서울을 어떤 도시로 인식했고, 또 어떻게 작업을 풀어가고 있는지 필자의 관점에 빗대 함께 들여다볼까요?
|
|
|
고쳐 쓰는 건축, 기존 구조에 새로운 가능성을 더하다 ‘HIDE 198’ㅣ소보건축사사무소 SOBO Architects |
|
|
- 책임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 전소현 Sohyun Jeon, 신현보 Hyunbo Shin
- 건축 형태 Type : 리노베이션 Renovation, 증축 Extension
- 건축 용도 Programme :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골구조 Steel Frame,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Seogyo-dong, Mapo-gu, Seoul
|
|
|
생활가로와 주거의 공존, 그리드가 만든 흐름 ‘그리드149 Grid 149’ㅣ소수건축사사무소 SOSU ARCHITECTS |
|
|
- 책임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 고석홍 Seokhong Go, 김미희 Mihee Kim
- 건축 형태 Type : 신축 New-built
- 건축 용도 Programme :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다가구주택 Multi Family House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서울시 송파구 송파동 Songpa-dong, Songpa-gu, Seoul
|
|
|
탄화목으로 새긴 기억 ‘탄목원炭木園’ㅣ유저 USER + 나우랩 NAUx LAB |
|
|
- 책임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 박종방 Jongbang Park (USER), 이석 Suk Lee (NAUx LAB), 신명관 Myeongkwan Shin (실시 설계, 이지건축사사무소)
- 건축 형태 Type : 신축 New-built
- 건축 용도 Programme :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Sangbuk-myeon, Ulju-gun, Ulsan
|
|
|
창덕궁을 담는 시선, 빛과 풍경을 조율하는 구조 ‘오피스P Office P’ㅣ오헤제 건축사무소 o.heje architecture |
|
|
- 책임디자이너 Designer in Charge : 이해든 Haedeun Lee, 최재필 Jaepil Choi
- 건축 형태 Type : 인테리어 Interior
- 건축 용도 Programme : 업무시설 Business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골철근콘크리트조 Steel Reinforced Concrete
-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Jongno-gu, Seoul
|
|
|
📕 야마모토 리켄 ‘탈 주택’ 한국어판 출간...공동체를 설계하는 새로운 주거 방식
야마모토 리켄, 나카 도시하루 공저. 이정환 옮김, 박창현 감수. 안그라픽스 펴냄. 2만3000원 |
|
|
2024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인 야마모토 리켄이 공동 저술한 ‘탈 주택: 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이 한국어판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산업혁명 이후 당연하게 여겨진 ‘1가구 1주택’ 개념을 비판하며, 건축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 주거 모델을 탐색하는 책입니다.
책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됩니다. 1부에서 야마모토 리켄은 일본 전통 개념인 ‘시키이(閾, 문턱)’를 중심으로 주거와 외부 환경의 경계를 허무는 건축적 실험을 소개합니다. 과거 사랑방처럼 외부와 내부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방식을 현대 건축에 적용하며, 공동체가 형성되는 건축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
|
|
2부에서는 나카 도시하루가 이를 확장하여 지역 경제와 공동체가 영향을 주고받는 새로운 주거 모델을 탐색합니다.
이번 신간은 우리가 익숙하게 여겨온 ‘1가구 1주택’ 개념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독립적 주거 방식이 오히려 인간을 더욱 고립시키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건축이 공동체를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적 해법을 제안합니다.
|
|
|
🏠 앤갤러리, 유럽 컨템포러리 디자인 가구와 현대 미술의 만남...‘Connect: Art and Design’ 개최
앤갤러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95, B1). 3월 6일(목) ~ 4월 19일(토)까지. |
|
|
앤갤러리는 오는 4월 19일(토)까지 프랑스 가구 브랜드 ‘리네 로제Ligne Roset’와 이탈리아의 ‘모로소Moroso’와 협업하여 전시 ‘Connect: Art and Design’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현대 미술과 컨템포러리 디자인 가구가 조화를 이루며, 일상 속 예술적 감각을 환기시키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술과 디자인은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창의성과 미학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공유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피에르 폴랑Pierre Paulin, 로낭&에르완 부훌렉Ronan & Erwan Bouroullec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가구와 함께 국내외 현대 미술작가들의 작품이 함께 전시됩니다.
|
|
|
이번 전시는 순수미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두 분야의 미학적 창의성이 상호작용을 하는 공간을 제시하며, 관람객들에게 예술과 디자인을 일상에서 경험하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98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22길 51-1, 4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