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글로컬상권 포럼, 방배숲환경도서관, 딩가딩가, 에스엔빌딩, 가산정신건강의학과, 피에르 위그 개인전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Articles
- [로그인 로컬] ④ 글로컬상권의 미래를 모색하다 - ‘2025 전주 글로컬상권 포럼’ 성황리 마쳐
Projects
- 보이지 않는 건축, 드러나는 경험 ‘방배숲환경도서관 Bangbae Forest Library’
- 여행과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집 ‘딩가딩가’
- 따뜻한 기억을 잇는 건축 ‘에스엔빌딩 S& Building’
- 빛으로 감싸는 병원디자인 ‘가산 정신건강의학과의원 Gasan S Psychiatry Clinic’
News
- 리움미술관, 프랑스 현대미술가 피에르 위그의 ‘리미널Liminal’ 개최
- 건축물에 담긴 시대의 기억...보얀 파이브리치 사진·영상展, 4월 12일(토)까지
|
|
|
외부 기고자 모집에 보여주신 관심 감사합니다. |
|
|
지난 2월 26일(수) 자정에 마감한 <브리크brique> 외부 기고자 모집에 60여 명이 지원해주셨습니다.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개별적으로 연락을 드려 여부를 말씀드렸습니다. 저희 편집팀은 각자의 시선과 경험이 담긴 원고와 포트폴리오를 하나하나 읽으며, 건축과 공간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깊이 있는 고민들을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이 들려주신 이야기들은 브리크의 소중한 자산이 됐으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는 데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번 인연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나가고, 여러분의 목소리를 더 다양하게 담을 수 있는 브리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원을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내어주시고, 정성껏 원고를 준비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립니다.
<브리크brique> 편집팀 드림
|
|
|
글로컬상권의 미래를 모색하다
[로그인 로컬] ④ ‘2025 전주 글로컬상권 포럼’ 성황리 마쳐 |
|
|
‘일본 나가하마, 네덜란드 네이먼헌 등 쇠락해가는 중소도시를 되살려 글로벌 상권으로 성장시킨 사례를 우리나라에서도 만들 수 없을까?’ 인구 감소, 원도심 쇠퇴에 따른 위기감을 극복하고, 지역을 지속가능한 도시로 만들기 위한 민관의 노력이 다양한 모양새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지역창업생태계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는 투자사 크립톤이 지난 2월 26일(수) 전주 JB문화공간에서 ‘2025 전주 글로컬상권 포럼’을 열었습니다. 이 포럼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전주시가 추진 중인 ‘글로컬상권 창출 사업’의 진행 상황을 중간 점검하고, 지역창업자와 로컬브랜드가 함께 성장하도록 돕는 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꾸려졌습니다. |
|
|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관 관계자 이외에도 예비 창업자, 지역 인사, 주민들이 함께 한 ‘전주 글로컬상권 창출포럼’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고 갔는지 함께 따라가 보시죠.
|
|
|
보이지 않는 건축, 드러나는 경험 ‘방배숲환경도서관 Bangbae Forest Library’ㅣ인시추 건축사사무소 INSITU Architecture + 종합건축사사무소 가람건축 Garam Architects and Associates |
|
|
- 건축 형태 Type : 신축 New-built
- 건축 용도 Programme : 교육연구시설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160-7 / 160-7, Seocho-daero, Seocho-gu, Seoul
|
|
|
여행과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집 ‘딩가딩가’ㅣ소수건축사사무소 SOSU ARCHITECTS |
|
|
- 책임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 고석홍 Seokhong Go, 김미희 Mihee Kim
- 건축 형태 Type : 신축 New-built
- 건축 용도 Programme : 단독주택 Single Family House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백안리 Baegan-ri, Yangpyeong-eup, Yangpyeong-gun, Gyeonggi-do
|
|
|
따뜻한 기억을 잇는 건축 ‘에스엔빌딩 S& Building’ㅣ스튜디오엔오유 Studio NOU |
|
|
- 책임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 박종문 Jongmun Park
- 건축 형태 Type : 리노베이션 Renovation
- 건축 용도 Programme :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722-1 / 722-1, Suyeong-ro, Suyeong-gu, Busan
|
|
|
빛으로 감싸는 병원디자인 ‘가산 정신건강의학과의원 Gasan S Psychiatry Clinic’ㅣ오피스 사에프오 office 4f5 |
|
|
- 책임디자이너 Designer in Charge : 선우욱 Uk Sunwoo, 정연욱 Yeonuk Jung
- 건축 형태 Type : 인테리어 Interior
- 건축 용도 Programme :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Location :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Gasan-dong, Geumcheon-gu, Seoul
|
|
|
🖼️ 리움미술관, 프랑스 현대미술가 피에르 위그의 ‘리미널Liminal’ 개최
리움 + 피노 콜렉션 주최.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7월 6일(일)까지. |
|
|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인간 중심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구에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각 생명체가 생존하는 데 최적화된 환경이 존재합니다. 독일 생물학자 야콥 폰 윅스퀼Jakob von Uexküll은 이를 ‘움벨트Umbelt’라고 정의했습니다. 소라게를 위한 환경, 암세포가 생존하는 환경처럼 각 개체가 경험하는 세계는 저마다의 논리로 형성됩니다.
리움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개인전 ‘리미널Liminal’은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과 비인간, 현실과 허구, 생명체와 무생물 사이의 경계를 흐립니다. 이번 전시는 우리가 익숙하게 받아들였던 환경의 개념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예측할 수 없는 생태계를 제시합니다.
피에르 위그는 전시 공간 자체를 ‘살아 있는 환경’으로 구축합니다. 각 작품은 자율적으로 작동하며 센서를 통해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해석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관람객이 개입할 때마다 작품은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복합적인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관람의 대상이 아니라 관객이 직접 경험하며 변화의 일부가 되는 전시입니다. 인간이 중심이 아닌 다양한 존재들이 얽혀 만들어내는 이 환경 속에서 우리는 ‘움벨트’의 개념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기회를 맞이합니다. 피에르 위그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익숙한 것들 속에서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
|
|
🏠 건축물에 담긴 시대의 기억...보얀 파이브리치 사진·영상展, 4월 12일(토)까지
대안공간 루프 (서울 마포구 서교동 335-11). 4월 12일(토)까지. 관람 시간 11:00 - 19:00. |
|
|
대안공간 루프에서 보얀 파이프리치Bojan Fajfri 개인전 ‘이글스, 육군 본부 그리고 축구 영화’가 개최됩니다. 작가는 자신의 고향인 베오그라드에서 급격한 도시 변화 속에 사라져 가는 장소와 기억을 기록하며 그 변화를 예술적으로 재조명합니다.
작가의 고향 베오그라드는 발칸반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유럽 역사상 여러 차례의 대규모 전투가 벌어질 정도로 전쟁의 상흔이 깊이 남은 지역입니다. 보얀 파이프리치는 이러한 장소성에 기반하여 1999년 나토 공습, 미국 주도의 대규모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1930년대 베오그라드를 재현한 영화 세트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6,000여 장 이상의 사진 아카이브를 이용해 각 장소의 변화를 영상으로 담았습니다.
|
|
|
이번 전시는 도시의 역사적 맥락을 조작하거나 지우려는 정치적·경제적 움직임을 비판적인 시선으로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보얀 파이프리치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급변하는 도시 속에서 잃어가는 기억과 장소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98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22길 51-1, 4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