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도시영등포, 고안된 장식들, 펫 포레스트 김포, 멜트, 이건희 기증관, 송현동 국립문화시설, 생각의 구축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Articles
- 영등포의 재발견, 예술과 기술이 만난 문화도시 - ‘2024 예술기술도시 Time and Narrative 시간과 이야기’ 참관기
Projects
-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를 떠올려보다 ‘고안된 장식들 A Model of Sporadic Thoughts’
- 작별의 공간, 슬픔을 위로하는 마지막 설계 ‘펫 포레스트 김포 Pet Forest Gimpo’
- 도시와 자연의 경계를 허무는 ‘멜트 MELT’
News
- 이건희 기증관 ‘송현동 국립문화시설’ 국제설계공모에 제제합건축사사무소 당선
- 실험적 건축가 이용주의 독창적 작업 세계, ‘생각의 구축’ 출간
|
|
|
영등포의 재발견, 예술과 기술이 만난 문화도시 [Zoom] ‘2024 예술기술도시 Time and Narrative 시간과 이야기’ 참관기 |
|
|
영등포구가 문래동을 중심으로 예술과 기술이 융합된 창의적 지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예술가들이 문래동으로 유입되면서 공장지대가 창작촌으로 변모했는데, 이로 인해 문래동은 서울의 예술 중심지로 자리 잡아 가고 있습니다.
|
|
|
영등포구와 영등포문화재단은 ‘예술기술도시 Time and Narrative’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과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작품을 발굴하며, 지역의 장소성과 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시와 공연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행사 장소인 옛 하나로마트 매장은 전시장으로 활용되며, 가상 세계와 연결된 색다른 체험을 제공합니다. 이번 전시에는 18인의 예술가가 참여해 영등포의 다양한 지역성을 리서치하고, VR, AI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융복합 창작물을 통해 도시의 미래와 환경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전시 이외에도 시민참여 공연, 아티스트 토크, 연계 포럼 등이 함께 펼쳐집니다.
이같은 시도는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하며, 예술과 기술의 결합이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자부심을 고취하는 모델이 될 것이라는 기대입니다. 영등포가 예술을 중심으로 지역 활성화에 성공해 ‘명품 문화도시’로 성장할지 관심이 쏠렸습니다.
|
|
|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를 떠올려보다 ‘고안된 장식들 A Model of Sporadic Thoughts’ㅣ푸하하하 건축사사무소 FHHH friends |
|
|
건축가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대지를 바라보며 오래전 보았던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Villa Savoye’를 떠올렸다고 합니다. 은평구 녹번동, 낡은 동네의 무기력과 정겨움 사이 어딘가에 놓인 풍경을 바라보며 건축가는 무언가를 결심했습니다. 창이 없는 못생긴 집을 지어야겠다고요. |
|
|
‘고안된 장식들’은 육면체의 덩어리를 파내어 가장 깊숙한 곳에 안전한 건축주의 공간을 두었습니다. 풍경도 빛도 바람도 둘만의 장소를 함부로 해치지 못하도록 구불구불한 길을 거쳐 들어오도록 의도했죠. 언뜻 보이면 실패담처럼 보이지만 건축가는 여전히 건축주와 안부를 물으며 관계를 이어 나간다고 하는데요. 어떤 프로젝트였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
|
|
작별의 공간, 슬픔을 위로하는 마지막 설계 ‘펫 포레스트 김포 Pet Forest Gimpo’ㅣ아키리에 Archirie |
|
|
‘펫 포레스트 김포’는 김포 외곽 지역의 오래된 건물을 개조해 국내 최초의 반려동물 장례식장으로 만든 프로젝트입니다. 반려동물 장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법적 제약 속에서, 의미 있는 마지막 이별을 돕고 새로운 문화를 제안하기 위한 시도를 담았습니다.
|
|
|
기존 건물은 오랜 시간 반려동물 장례문화를 선도해왔지만, 시대의 요구와 현대적인 감각에 맞추어 리모델링이 필요했습니다. 건축가는 건물의 기존 형태와 특성을 존중하며, 최소한의 변화로 큰 효과를 끌어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었고, 상담실에 도달하기 위해 외부 정원을 통과해야 하는 동선은 방문자에게 단조롭지 않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식재를 통해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방문자에게 따뜻한 위로와 평안을 선사합니다.
|
|
|
도시와 자연의 경계를 허무는 ‘멜트 MELT’ㅣ마인드 건축사사무소 MIND Architects |
|
|
‘멜트MELT’는 도시와 자연 사이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서쪽은 주거지, 동쪽은 금호강과 강변공원이 펼쳐진 대지 위에 자리 잡고 있죠. 상업적 편의성과 이용성에 더불어, 근린과 밀접하게 연계되고 어울릴 수 있어야 했고, 주변과의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했습니다.
|
|
|
작은 집 한 채가 도시 체계를 흔들 수 없습니다. 하지만 도시와 자연이 녹여진 공간은 생활 속 담소와 삶의 영위가 피어나는 공간이 되죠. 도시와 자연 사이의 경계에서 자리하는 카페 멜트를 함께 살펴볼까요?
|
|
|
🎉이건희 기증관 ‘송현동 국립문화시설’ 국제설계공모에 제제합건축사사무소 당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현동 48-24번지, 49-4번지 일대. 대지면적 9787㎡, 연면적 5696㎡ 예정 |
|
|
제제합건축사사무소의 ‘시간의 회복’이 ‘송현동 국립문화시설’의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으로 선정됐습니다.
경복궁 인근 ‘열린송현 녹지광장’ 옆에 조성될 이 시설은 이건희 회장 유족이 기증한 문화재를 체계적으로 보관·전시할 목적으로 서울 종로구 송현문화공원에 2028년 개관 예정입니다.
|
|
|
공모에는 국내외 67개 팀이 참여했으며, 심사위원회는 대한민국다운 정신을 자연과 상징적으로 연결한 이 작품을 만장일치로 최종 선정했습니다.
심사위원단은 이 제안이 경복궁과 전통 건축에서 보이는 중정형 패턴을 적용한 3개의 건물 안에 상설전시 공간 5곳, 특별전시 공간 1곳을 각각 배치해 전시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시 공간 사이를 이동하는 관객들이 열린 사이 공간으로 자연을 만나게 되는 구성을 우아하게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
|
📚 실험적 건축가 이용주의 독창적 작업 세계, ‘생각의 구축’ 출간
이용주 저, 효형출판 펴냄. 120×170 mm, 296쪽. 정가 2만원. |
|
|
건축가 이용주의 신간 ‘생각의 구축’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공간과 관련된 모든 부분에서 실험성을 추구하는 그의 창조적 융합의 실체를 탐구하며,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책에서는 영화, 음악, 소설, 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한 이용주의 17개 건축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습니다. SF소설 속 뇌만 남은 사고체 이야기, 스티로폼을 먹는 벌레에 대한 기사, 기계와 유기체의 결합을 다룬 영화 이미지 등 흥미로운 단초에서 출발한 그의 아이디어들이 신기술과 접목해 창의적으로 구현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
|
이 책은 독자들에게 건축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사고와 도전 정신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탐구하도록 영감을 줍니다. 특히 ‘뿌리벤치’, ‘이끼기둥’, ‘면목119안전센터’와 같은 공공 프로젝트에서 보여주는 실험적 접근 방식은 건축의 고정관념을 깨는 시도들로 가득합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창작자와 독자들에게, 이 책은 건축 세계에 대한 흥미로운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98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22길 51-1, 4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