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수연목서, 닷웨이브, 연주가, 울산하우스, 로컬크리에이티브2024, 농부사전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Articles
-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② 여주시 목공방 ‘수연목서’ 최수연 대표 - 흔들리지 않고 짓는 내 공간이 어디 있으랴
Projects
- 포치와 필로티가 만들어낸 여유 ‘연주가 Yeonju House’
- 도시와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물결 ‘닷웨이브 .Wave’
- 철재 형강으로 완성한 현대적 디자인 ‘울산하우스 US House’
News
- 100여 개 로컬 브랜드를 한 곳에… 전시, 컨퍼런스, 공연, 플리마켓 함께 여는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5월 17일(금) 개막
- 작은 농부들의 이야기 담은 ‘같이 쓰는 농부사전’, 블루메미술관에서 5월 18일(토)부터
|
|
|
흔들리지 않고 짓는 내 공간이 어디 있으랴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② 여주시 목공방 ‘수연목서’ 최수연 대표 |
|
|
어른이 되었다고 해서 어디에서 살 것인지, 무엇을 하며 살아갈 것인지 마음껏 정할 수 없다는 걸 깨닫는 게 어른이 되는 과정이죠. 원했든 원치 않았든 누구에게나 주어진 삶의 조건이 있으며 사람들은 그 조건 속에서 주체적으로 삶을 일궈 살아가기를 갈망합니다.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목공방 ‘수연목서’를 운영하는 최수연 대표는 주어진 조건에 의해 만들어지는 삶이 아닌, 자신만의 삶을 살고자 수연목서를 지었습니다. 최 대표의 오랜 꿈이었던 ‘문화 콘텐츠를 생산하는 공간’을 실현한 곳인데요.
|
|
|
그런데 이곳은 단숨에 지어지진 않았습니다. 직업인으로서 주어진 삶의 조건에서 고민하고, 숙고하다 결정하고, 그 결정을 다시 돌아보고, 잠시 잊고 있다가 다시 불을 지피기를 반복한 10여 년의 준비시간 끝에 탄생한 수연목서. 처음엔 목공 작업실로 사용하던 것을 카페와 서점으로 용도를 확장해 또 4년 가까이 흘렀습니다.
욕망의 절제와 꿈을 향한 도전, 그리고 타협과 수용에 이르기까지 최 대표의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수연목서를 찾아가 그를 만나봤습니다.
|
|
|
포치와 필로티가 만들어낸 여유 ‘연주가 Yeonju House’ㅣ나우랩 건축사사무소 NAAULAB ARCHITECTS |
|
|
신도시 택지개발지구는 어디든지 유사한 지구단위계획 지침 때문에 비슷한 형태의 단독주택이 늘어서곤 합니다. 그럼에도 건축주는 건축가에게 자신만의 특별한 집을 지어줄 것을 요구하죠. 게다가 이번 프로젝트는 ‘어떤 집이 되면 좋겠다’라기보다, ‘이런 집은 아니었으면 좋겠다’라는 건축주의 분명한 요구가 있어서 건축가에게 은근히 까다로운 점이 많았습니다.
|
|
|
그래서 건축가는 설계 과정에서 건축주의 요구에 반하는 경우를 하나씩 뺄셈하며 설계를 진행했고, 이 과정을 거쳐 집이 만들어졌습니다. 건축주가 직접 지은 이름 '연주가'처럼, 크지 않은 개인 주택으로서 거주 공간에 대한 소박한 욕망과 정체성이 담겼지만 건축가가 풀어낸 독특한 해법에 동네를 밝히는 단독주택이 탄생했습니다.
|
|
|
도시와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물결, ‘닷웨이브 .Wave’ㅣ소수건축사사무소 SOSU ARCHITECTS |
|
|
건축주는 건축가에게 대지가 허락하는 최대 용적률을 확보하길 원했습니다. 하지만 주변보다 큰 대지에 최대 볼륨을 계획하는 것은 도시에 이질감을 더합니다. 건축가는 최대 볼륨을 활용하되, 도시의 스케일과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민해야 했죠.
|
|
|
건축가는 파도처럼 건축물에 반복적인 굴곡을 주었고, 건축물 입면의 틈을 주어 기존 도시의 스케일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습니다. 그 결과 도시 풍경을 정돈하고 인접 대지와 소통하는 프로젝트가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
|
|
철재 형강으로 완성한 현대적 디자인 ‘울산하우스 US House’ㅣ황준도시건축사사무소 hwang june architect & associates |
|
|
중정을 중심으로 쏟아지는 햇빛이 내부를 밝혀주는 '울산하우스'. 건축가는 대지 조건 상 내부의 채광이 부족할 것을 염려해 건물 중간에 작은 중정을 만들어 모든 공간에 자연광이 유입되도록 의도했습니다. 이 중정은 거실, 주방, 식당, 부모님의 침실, 서재 등 각각의 공간과 연결된 소통의 공간이기도 합니다. |
|
|
주택은 외부를 감싼 철재 형강 덕분에 현대적인 조형미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철재 형강은 건물의 표정을 만드는 역할뿐 아니라, 2층 옥상의 캐노피 역할과 1층 처마를 구성하는 기능도 갖고 있습니다. 덕분에 울산 하우스는 단순한 입면을 가지면서도 기능과 개성을 놓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
|
|
🏠 100여 개 로컬 브랜드를 한 곳에…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개막
어반플레이 주관. 문화역서울284(서울 중구 통일로 1). 5월17일(금)~6월2일(일) 11:00~19:00 (월 휴무) |
|
|
성심당, 태극당, 모모스 커피, 로우키, 베르크, 서울브루어리, 복순도가, 한강주조, 인천맥주 등 각 지역을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 100여 개를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로컬 크리에이티브2024’가 오는 5월 17일(금), 문화역서울284에서 개막합니다.
도시콘텐츠 전문 기획사 어반플레이가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The Next Community'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 행사는 지역별, 시대별 라이프스타일이 녹아 있는 로컬 브랜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조명하고, 로컬 문화를 이끄는 크리에이터들의 도전 의식을 기록하고 알리는 것이 목적입니다.
|
|
|
이 행사는 팝업이 아니라 크리에이터의 제품을 파는 것은 아니며, 전시와 함께 콘퍼런스, 공연, 마켓 등 다양한 연계 이벤트와 함께 오는 6월 2일(일)까지 열립니다.
|
|
|
🌿 작은 농부들의 이야기 담은 ‘같이 쓰는 농부사전’, 블루메미술관에서
블루메미술관.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59-30. 5월 18일(토) ~ 11월 17일(화) |
|
|
작은 규모이지만 주체적인 이야기로 농업 활동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전시로 소개됩니다.
경기도 파주시가 후원하는 ‘같이 쓰는 농부사전’이 오는 5월 18일(토)부터 11월 17일(일)까지 파주 블루메미술관에서 개최되는데요. 참가자는 찬우물농장(경기 고양), 종합재미농장(경기 양평), 뭐하농(충북 괴산), 그래도팜(강원 영월)에서 활동하는 대표 농부들과 네 명의 현대미술작가가 함께합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되며, 별도의 전시 연계 교육 및 체험 행사도 준비돼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와 가족, 성인 등 대상별 프로그램과 미술관 내 또는 파주 농부 직거래 장터, 협동조합 식당 등 지역 기관과 협력하여 진행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습니다.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038 서울시 마포구 120, 404호
(로컬스티치 홍대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