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크brique> vol.10 'Stay here' 발간, The True MZ’s House, 까사 카바나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 <브리크brique> vol.10 ‘Stay here’ 발간
→ MZ세대의 집 이야기 ‘집과 함께 성장 중입니다’
→ 가족만을 위한 부티크 호텔 ‘까사 카바나’
→ 하얀색 네모 위에 불그스레한 세모 ‘태평동 단독주택 슴’
→ 더 나은 공간, 더 나은 삶 ‘2022 더 메종’
|
|
|
<브리크brique> vol.10 ‘Stay here’ 발간 🎉
2022년 여름호가 출간되었습니다! 어디론가 자꾸만 떠나고 싶어지는 이 계절, <브리크brique> vol.10의 특집 주제는 머무름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제안하는 ‘스테이stay’입니다. 기존의 숙박시설과 차별화된 디자인과 프로그램을 갖춘 스테이들을 선별해 변화하는 한국의 공간 및 여행 문화를 살폈습니다. 그 자체로 여행의 목적지가 되는 매력적인 공간, 일상에 지친 이들에게 크고 작은 위로를 선사하는 공간을 찬찬히 보다 보면 책장을 넘기는 순간이 곧 하나의 짧은 여행처럼 다가와 있을 것입니다. |
|
|
하나의 집에 얽힌 건축가와 거주자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담아냅니다. 도심 근교의 세컨드하우스, 리노베이션된 구옥, 모듈형 커뮤니티 주택 등 주거 문화의 다양성을 높이는 여러 유형의 집을 고루 다뤘습니다.
· 삶을 지탱하는 두 번째 집ㅣ선집 (오르트 건축사사무소) · 집과 나의 시간ㅣ구의본가 (팀 히치하이커 건축사사무소) · ‘제조’로서의 건축ㅣ용인 모듈러 커뮤니티 주택 (바운더리스 건축사사무소)
|
|
|
여행과 집, 머무는 것과 떠나는 것의 의미에 대해 재고하기를 요청 받는 오늘날 스테이의 맥락은 폭넓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자연 속에서의 휴식, 자발적 고립, 일과 생활, 스포츠와 문화 활동, 유려한 건축 공간에서의 비일상적 경험 등 전하고자 하는 가치와 이야기가 명확한 9가지 스테이를 촘촘히 들여다보았습니다.
· 오늘의 여인숙ㅣ삼화 여인숙 (라이프이즈로맨스) · 완벽한 고립의 시간ㅣ의림여관 (백에이어소시에이츠) · 세 가지 사색의 공간ㅣ서리어 (지랩) · 고요함 속 감각을 여는 호텔ㅣ이제 남해 (더퍼스트펭귄) · 숲속 진정한 나를 마주하다ㅣ아틴마루 (비케이아키텍처) · 호텔과 글램핑 사이ㅣ글램트리리조트 (건축공방) · 일과 쉼이 공존하는 곳ㅣ오-피스제주 (오-피스) · 꼭 하룻밤만큼의 예술ㅣ다이브인 인사 (다이브인) · 여기가 내 집이었으면ㅣ어 베터 플레이스 (유즈플 워크샵)
|
|
|
‘모든 매장은 달라야 한다’는 철학을 토대로 입지하는 지역 특색에 따라 세계 각지에 다양한 스토어를 선보이는 브랜드 이솝의 공간 철학을 소개합니다. ‘이솝 부산’을 통해 브랜드 경험과 지속가능성, 지역성 간 조화를 꾀하는 법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폐기와로 만든 바다 한가운데ㅣ이솝 부산
|
|
|
오래된 연와조 주택의 매력을 살려 리노베이션한 집, 부속 시설을 핵심 디자인 어휘로 택한 한강 매점, 운영자만의 취향이 담긴 스테이,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더욱 살린 패시브하우스까지.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는 건축물을 만나보세요.
· 연희동 주택ㅣ건축사사무소 엘아이엠 · 한강공원 양화지구 매점ㅣ코어건축사사무소 · 호미양양ㅣ스테이 아키텍츠 · 제주 하원동 패시브하우스ㅣ자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
|
|
수도권 1인 주거 비율이 40%에 달한 오늘날, 치솟는 집값으로 인해 경제적 기반이 약한 이들의 내 집 마련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전월세 거주 비율이 높은 MZ세대는 높아지는 보증금과 월세로 인해 낙후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
|
|
반면 각종 매체를 통해 소개되는 집은 그저 크고 화려하거나, 경제적 관점으로만 그 가치가 다뤄질 뿐입니다. 이 같은 이야기가 MZ세대의 마음에 크게 와닿을 수 있을까요?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이상적인 집과 현실의 간극을 메워보고자 집에 대한 MZ세대의 솔직한 생각을 듣는 ‘The True MZ’s House’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
|
|
첫 번째 인터뷰이는 서대문구 북가좌동에 거주하는 김태후 님입니다. “계획했던 대로 되니 나쁘지 않게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스스로 성장하는 느낌을 받아요.” 그는 고시원부터 지금의 원룸 전셋집에 이르게 된 여정이 나름의 계획을 바탕으로 한 ‘성취’라고 말합니다. 집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면서 집이 곧 삶의 의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집 구하기 과정이 궁금하다면 기사를 확인해보세요!
|
|
|
‘까사 카바나’의 건축주는 여행을 좋아하는 4인 가족입니다. 해외의 여러 호텔로 여행을 다니던 경험을 앞으로 살게 될 집에 반영하고자 하는 바람이 있었죠. 이들이 원하는 집은 마치 여행을 와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었습니다. 마치 휴양지처럼요. |
|
|
프로젝트는 ‘가족만을 위한 부티크 호텔’이라는 상상에서 출발했습니다. 내부에는 다양한 소재와 색감을 사용하고, 단순한 형태의 외관은 벽돌을 쌓아 짓되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 가족의 개성을 고스란히 드러냈죠. 4개 층으로 구성된 공간은 리셉션, 연회장, 라운지 바 등 호텔의 엔터테인먼트와 객실을 연상케 하는 공간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자동차 쇼룸처럼 보이는 주차장, 지인들을 초대하여 함께 식사할 수 있는 다이닝 룸, 부부의 휴식을 위한 수영장, 자쿠지, 벽천 등은 여행을 즐기는 이들의 삶을 잘 보여주는 요소인데요. 국내 주거 공간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생소한 모습이지만, 삶의 즐거움을 맛보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원천이기도 할 것입니다.
|
|
|
경기도 성남시 태평동 끝자락, 경사를 따라 공원이 시작되는 곳에 네모와 세모가 합쳐진 꼴의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하얀색 사각형 위로 불그스레한 삼각형이 얹힌 단독주택 ‘슴’인데요. 높은 곳에 위치해 도시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면서도 공원과 근접해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는 이점을 가진 한편, 높낮이 차가 있는 두 도로에 접한 탓에 맹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대지였죠. 설계에 앞서 도로 관계를 정리하고 북측과 서측 두 도로로부터 모두 접근이 가능한 동선을 계획했습니다. |
|
|
건축주에게는 무엇보다 전망 좋은 루프탑에서의 생활이 중요했습니다. 또한 최상층에 주방을 둔 배치를 원했기에 꼭대기 층인 4층은 테라스와 주방, 식당으로 구성했죠. 부모와 자녀가 함께 생활하는 점을 고려해 각각의 침실을 2층과 3층에 계획하고, 중간 지대인 3층에 소거실을 배치했습니다. 1층은 별도의 다목적 공간으로, 2층엔 현관을 두어 2~4층을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3평이라는 한정된 면적 내에서 유연한 생활을 보장하고자 한 결과입니다. 담백한 인상으로 도시 풍경에 자연스레 어우러지는 단독주택 슴을 만나보세요.
|
|
|
🛋 2022 더 메종
2022년 6월 22일(수) ~ 6월 25일(토)
|
홈스타일링 전시회 ‘더 메종’이 오는 6월 22일부터 나흘간 코엑스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는 ‘집’을 매개로 리빙,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인사이트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가구, 오브제, 아트피스 등 홈스타일링을 통해 ‘더 나은 공간, 더 나은 삶’을 즐길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제시합니다. 공간 인테리어의 최신 동향과 국내에서 쉽게 보기 힘들었던 감각적인 브랜드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 특히 6개로 나뉜 기획공간에서는 공간 스타일링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꼭 방문해 보시길.
|
|
|
6월 초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도서전에 다녀왔습니다. 대형 출판사부터 소규모 창작자들까지 정성을 담아 만든 다양한 책들을 한 장소에서 만날 수 있었죠. 손에 잡히는 물성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이만한 놀이터가 없었는데요, 당시 인상적이었던 것은 디지털 기기가 더 익숙한 Z세대들이 핸드폰을 내려놓고 책을 만지며 읽고 있던 모습이었습니다. 어린 친구들이 책을 읽으며 느끼는 즐거움, 부스를 가득 메운 풍경을 보고 기뻐하는 창작자들의 즐거움까지 같이 느껴져서 저도 덩달아 기뻤답니다.
브리크 멤버들 또한 구독자분들께 즐거움과 의미 있는 영감을 전달하고자 정성을 다해 책을 만들고 있어요. 그 마음이 담긴 2022년 여름호 브리크 vol.10 ‘Stay here’를 세상 밖으로 내놓았습니다. 브리크와 함께 기분 좋은 즐거움을 느끼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요. 브리크를 읽으면서 함께 듣기 좋은 음악을 큐레이션한 협업 프로젝트도 곧 공개할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
마케터 로빈🌝 드림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779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G701호 (성수동1가,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