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크 디지털 멤버십, 벽사헌, 고운동 주택, 에피소드원 신사, 2023 서울건축문화제, 볼라 쇼룸 오픈 이번 주 뉴스레터 소식은?
→ 디지털 멤버십 구독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누각같은 무용가의 집 ‘벽사헌碧史軒’
→ 반전의 붉은 벽돌 박스 ‘세종 고운동 주택’
→ 오래된 빌라에 불어 넣은 새 숨결 ‘에피소드원 신사’
→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 9월 1일 개막
→ 덴마크 프리미엄 수전 브랜드 ‘볼라vola’, 서울 단독 쇼룸 오픈
|
|
|
<브리크brique>가 지속가능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디지털 멤버십 구독서비스’를 오는 9월 1일 오픈합니다.
디지털 멤버십에 가입하면 공간과 라이프스타일 분야의 흐름을 속도감 있게 담아내는 기획취재 시리즈는 물론, 공간 창작자와 운영자, 사용자에게 듣는 공간의 탄생 과정과 운영 이야기 등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기사 형태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또 지난 5년여간 350여 공간 창작자와 공간 기획자, 운영자 등이 함께 쌓아 온 1000여 건에 이르는 공간 아카이브 ‘스페이스팝 SPACE-POP’을 마음껏 둘러보실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팝은 도시인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담은 창의적인 주거건축물을 비롯, 혁신적인 디자인을 반영한 상업공간, 고품질의 문화공간 등을 지역이나 형태, 용도별로 검색해 원하는 사례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아카이브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해외 사례와 로컬의 공간 등 더 다양하고 영감 가득한 공간들을 발굴해 매주 새롭게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브리크는 이번 디지털 멤버십 도입을 통해 양질의 공간과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아카이브 체계를 업그레이드해 더 안정적으로 서비스하는데 힘을 쏟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아버지를 이어 벽사춤의 전통을 이어가는 건축주. 가족 모두가 무용을 전공했기에 강남구 자곡동에 위치한 그들의 집 '벽사헌碧史軒'에는 주거공간 위에 푸르름으로 둘러싼 무용실이 있습니다. 집 앞에는 못골공원, 집 뒤에는 대모산이 있어서 무용실 안에서 연습하며 통창 유리로 보이는 바깥 풍광은 마치 누각 마루에서 춤을 추는 기분을 선사한다고 해요. |
|
|
지하층은 넉넉히 자동차 4대를 주차 할 수 있는 주차 공간과 건축주 부부의 침실, 그리고 주방과 다이닝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건축주가 차를 좋아해서 실내 다이닝 공간에서도 차를 바라볼 수 있도록 유리로 마감이 되어 있고, 다이닝룸은 위층이 보이는 복층 구조라 지하층인데도 답답함이 없어요. 지상층은 건축주 어머니의 별채 공간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세 아들의 방과 거실이 있습니다. 아들 방들을 연결해 주는 복도는 지하층의 다이닝룸을 내려다 보도록 시선이 모두 교차되고, 거실은 살짝 내려와 있어 아늑함을 제공하죠. |
|
|
제일 좋은 풍경을 즐길 수 있는 2층의 무용실은 대나무 발을 연상케 하는 메탈 패브릭을 이용해 프라이버시와 햇빛을 차단합니다. 뒤로는 무용실 입구, 탈의실, 그리고 작은 화장실이 있는데, 벽이 거울로 마감돼 앞의 숲이 그대로 재연된다고 해요. 자연의 모습을 담은 무용실과 건축주의 생활 공간이 궁금하시다면, 기사를 통해 접해 보세요!
|
|
|
마치 하나의 도시처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만든 주택이 있습니다. 세종시 고운동에 신축한 붉은 벽돌 박스 모양을 한 단독주택이 그 주인공인데요. 건축가는 이제 막 선만 그어진 주택단지 안에서 어떤 주거환경을 제안하면 좋을까 많이 고민했습니다. 커뮤니티도 형성되지 않았고 주변의 이야기가 아직 부족한 지역이기 때문에 주택 건축 자체만으로 도시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집을 만들기로 했죠. 그래서 바깥에서 보이기에 다소 단절된 박스 형태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
|
|
외부에서 보기와는 다르게 노출콘크리트로 뚫린 진입구로 빨려 들어가듯 들어가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집니다. 잔디마당을 거쳐 현관으로 들어가기까지의 여정에서 만나는 벽돌 사이로 들어오는 빛이 그리는 그림 같은 장면은 이곳에 방문하는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죠. 높은 담장처럼 둘러싸인 벽을 보고 답답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을 텐데요. 실내 공간 구석구석 자연광을 만날 수 있도록 중정이 있고, 실내로 연결된 외부 테라스가 있어 집안에서 실내외 공간을 모두 경험할 수 있어 오히려 개방적입니다. 또한 평지임에도 2층 바닥 높이 차이를 두어 삶의 방식을 더욱 풍부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박스 안으로 떠나는 여정에 함께 하고 싶으시다면, 기사를 통해 고운동 주택을 확인해 보세요.
|
|
|
에피소드원 신사 Episode 1. SINSAㅣ디자인스튜디오 모노 |
|
|
가로수길과 압구정로데오 사이에 위치한 옛 구축 빌라가 새로운 모습과 이름으로 나타났습니다. ‘Episode 1. SINSA 정씨네빌딩’이라는 이름과 함께 F&B 공간과 사무공간, 그리고 루프탑 공간으로 새롭게 변했는데요. 리노베이션 겸 증축 프로젝트인만큼 디자인스튜디오 모노는 대수선이라는 한계 안에서 어떻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며 진행했다고 합니다. 건축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목적도 여러 고민중에 하나여서, 시간이 지나면 더 깊은 색을 내는 외벽의 적벽돌은 유지했다고 해요. |
|
|
지하와 지상 1층의 F&B 공간은 기존 입구의 오른쪽 외벽을 허물고 선큰sunken 공간으로 내려가는 계단을 이용해 가시성과 접근성을 높였다고 합니다. 2~4층의 사무 공간은 구조 보강 후, 구획된 기존 실내벽을 철거해서 확장감을 선사했다고 해요. 증축된 루프탑 공간은 도심 속 아지트와 같은 공간으로 쉼과 놀이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빛과 함께 아늑한 분위기로 디자인 되었다고 하는데요. 밖에서 볼 때 부피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기둥을 이용하여 외곽 형태를 보완하되, 일조권 사선 제한에 맞게 사선 창호로 설계했다고 합니다. |
|
|
외부적인 요소는 최대한 유지하되, 공간적인 요소는 시대의 흐름에 맞게 바뀐 Episode 1. SINSA 정씨네빌딩. 기존 건축의 지속성을 고려하며 새로운 가치를 위해 디자인 된 공간, 기사를 통해 자세히 읽어보세요.
|
|
|
🖼️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 개막
2023년 9월 1일(금)~ 10월 29일(일)
서울도시건축전시관 / 열린송현광장, 서울광장, 광화문광장(UAUS 파빌리온 기획전시)
|
건축 문화 축제의 장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가 9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59일 동안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을 비롯 주요 서울 광장에서 열립니다.
첫날은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와 함께하는 개막식으로 송현열린녹지광장에서 시작하는데요. 개막식 1부 행사에는 ‘제41회 서울특별시 건축상’ 시상식이 진행되며 상장과 기념 동판을 수여한다고 합니다. 시민들이 건축을 더 가까이 첨할 수 있는 여섯 개의 경험 프로그램과 네 가지 전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어요. 건축 전문가와 관련 전공 학생은 물론, 건축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기사를 통해 접해보세요.
|
|
|
🖼️ 덴마크 프리미엄 수전 브랜드 ‘볼라vola’, 서울 단독 쇼룸 9월 1일 오픈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7길 11-3 (사전 예약 필수) |
|
|
덴마크 프리미엄 수전 브랜드 볼라vola가 9월 1일 서울 가회동에 단독 쇼룸을 오픈합니다. 1968년 창업자 베르너 오버고어Verner Overgaard가 덴마크 건축가이자 가구 디자이너 아르네 야콥센Arne Jacobsen에게 심플하고 독자적인 디자인의 수전을 의뢰하면서 시작된 볼라는 50년 넘는 시간동안 그들만의 가치를 지키며 브랜드를 운영해 오고 있는데요. 한국에 처음 오픈하는 쇼룸 또한 한옥과 1960년대 주택이 만나는 두 개의 건물을 활용해 볼라의 디자인 가치를 잘 드러내는 공간으로 거듭났습니다. 이곳에서 볼라의 전 제품 라인업을 만날 수 있고, 각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체험 공간도 마련돼 있어요. 볼라 쇼룸은 9월 1일부터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방문이 가능합니다. 오랜 시간 축적된 기술과 장인정신이 담긴 볼라의 제품을 직접 만나보세요.
|
|
|
㈜브리크컴퍼니 l info@brique.co l 02-565-0153
04038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0, 404호
(서교동, 로컬스티치 홍대2)
|
|
|
|
|